본문 바로가기
  • "You can't manage what you can't measure" Peter Drucker
728x90

물류21

물류센터 (창고) 로케이션 location 관리 물류센터 로케이션 체계를 알아보기 전, 아래 방송 내용을 먼저 보자. 아파트 층수 + 호수가 반대인 아파트 (호수 + 층수) 부천에 있는 'ㅂ' 아파트 'ㅂ' 아파트 호수 체계 [ MBC 생방송 오늘 아침] 501호가 1층? 뒤죽박죽 아파트 (2021.06.11 방송) https://www.youtube.com/watch?v=_tknTq2kwqE 이러한 호수 체계로 이 아파트에 처음 오는 택배 기사님이나 배달 기사님들은 헷갈려 한다고 한다. 1983년 입주한 5층 아파트로 당시에는 아파트가 드문 시대라, 당시 건설회사가 이러한 호수체계로 정했다고 함 (아파트 호수에 대한 특별한 규정은 없다고...) 물류센터 로케이션 번호 (주소) 체계 ( Location Numbering System) 물류센터 로케이션.. 2023. 9. 25.
물류센터 기능 (입고 Receiving ~ 출고 Shipping) 물류센터 기능 Source : World-Class Warehouse and Material Handling 물류센터는 제품/상품을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즈니스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상기 그림처럼 물류센터의 기능을 구분할 수 있다. Receiving (입고) 공장, 협력사(Vendor), 타 물류센터로부터 화물(제품, 상품)을 가져오면, 품목 및 수량, 상태를 확인 입고 수량을 시스템에 입력하여 입고 확정 입고예정정보(ASN : Advanced Shipping Notice)를 먼저 수신하면, 입고예정정보와 실물과 비교를 통해서 빠르게 검수하고 입고 확정할 수 있음 입고예정정보는 일고일자, 입고품목, 입고수량 정보로 구성되며, 구매 오더(P/O), 이동 오더(STO)를.. 2023. 9. 17.
ERP-WMS Interface 정보 ERP-WMS Interface WMS의 가장 중요한 역할과 정보는 재고 현황 및 입출고 관리와 관련 정보이며, 이에 따라 다양한 시스템 (ERP, 영업 시스템, OMS, TMS, 자동화 설비, 현장 작업자 PDA) 등 과 연계가 필요함 - WMS : Warehouse Management System - OMS : Order Management System - TMS :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여러 유관 시스템 중에 가장 대표적인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ERP이며 재고의 재무적 관리와 연관됨 WMS는 ERP로부터 기준정보, 입고정보, 출고정보 등을 전달받아, 물류센터 업무 수행의 기초 정보로 활용하고, 업무 수행 결과로 발생되는 입고실적, 출고실적, 재고정보 등을 ERP에.. 2023. 8. 30.
WMS (물류센터(창고) 관리 시스템) 기능 및 도입효과 WMS (Warehouse Management System) 기능 WMS는 영어 단어처럼, 물류센터 관리 시스템(창고 관리 시스템, 창고라는 단어는 요즘 잘 사용 안 함)으로, 물류센터 내의 물류 활동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 종종, '물류센터' 의미를 '물류'까지 확장하거나 'SCM'까지 확대하여, 운송관리, 주문관리, 발주관리 기능까지 포함한 시스템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으나, 물류센터의 목적은 물류센터에 근무하는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입고, 출고되는 재고를 정확한 수량과 정확한 위치에 관리하는 데 목적이 있음 WMS의 목적이자 중요한 기능은 재고의 위치 관리이며, 규모가 작고 입출고 물동량이 적은 물류센터는 재고의 수불만 관리하고 위치관리는 필요하지 않으나, 중대형 물류센.. 2023. 8. 17.
물류 정보 시스템 물류 정보 시스템의 중요성 1) 물류 기능의 중요성 증가 - 물류는 고객과 접점에서 제품 및 상품을 고객에게 최종 전달하는 기능 - 생산자 주도에서 소비자 주도로 사업 환경이 변화하면서, 고객의 Needs 다양화되며 고객과 접점의 대응력 중요성 증가 (예. 고객은 더 이상 재고 부담을 갖고 가고 싶지 않음) - 물류 중요성 증가에 따라, 기존 방식으로는 대응 한계 2) 기업의 매출 및 크기(취급품 수, 재고, 고객 등)가 성장하고 있음 → 기존의 운영 방식으로는 관리 한계 3) Data 수집 및 분석의 중요성 증대 → 물류에 필요한 Data 수집을 위한 시스템 필요 (ERP로는 불충분) - DT/DX를 외치며, 물류는 ERP만 Upgrade하면 된다고 생각하나, ERP는 회계 시스템으로 충분한 물류 Da.. 2023. 8. 16.
물류 설비 종류 및 자동화 적용 고려사항 물류 자동화 Trend 요약 1990~2000년대 : 제조사 Pallet AS/RS (Automated Storage & Retrieval System)의 보관 중심 구축 주요 대기업 (삼성, LG(금성), SK 등) 자동화 사업부 또는 자회사 보유 일본 자동화 설비 도입 구축 + 국산화 2000~2010년대 : 유통사 중심으로 Auto Sorting System 구축 택배사 Auto Sorting System 구축 및 대형화 ( 10,000 Box/Hr → 40,000 Box/Hr 이상) 일본 자동화 설비 → 유럽 자동화 설비 (대량 표준화 생산으로 상대적 낮은 가격, S/W 성능) 2010년~ : 유통사(온라인) 중심의 Multi-Shuttle, Autostore, Carousel 등 Box 보관 및.. 2023. 8. 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