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You can't manage what you can't measure" Peter Drucker
Fact archive

제22대 국회의원선거(총선) 결과 #2

by Vitaminymc 2024. 4. 24.
반응형

[ 당선 결과  ]

출처 : MBC 여론M

https://poll-mbc.co.kr/poll2024/

 

데이터 출처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자료공간

 - 제22대 국회의원선거(재보궐선거 포함) 개표결과 (2024.4.18)

https://www.nec.go.kr/site/nec/main.do

 

재외투표 유권자 중 오랫동안 외국 거주로 국내에 거소가 없는 경우는 비례대표만 투표 

→ 지역구 유권자 수와 비례투표 유권자 수의 차이가 있음

 - 비례대표 선거인수 :  44,280,011, 투표 수 29,654,450, 투표율 : 67.0%

 - 지역구 선구인수 : 44,245,552, 투표 수 29,640,919, 투표율 : 67.0%

[ 지역구 정당별 득표 ]

22대 총선 투표율, 무효표율 (지역구)

[ 지역구 정당별 전체 득표 결과 ]

지역구별 득표 수 합계 

(선거구별 최다 득표자가 당선되기 때문에 의석 수와는 별개임)

총 후보 수 : 693명

정당 선거구 득표 수 점유비(%) 비고
더불어민주당 245 14,758,083 50.48 미출마 지역구 9곳
 - 대구 달서구병, 동구군위군을, 서구, 수성구을
 - 경북 경산시, 의성군청송군영덕군울진군
 - 부산 연제구, 세종 갑
 - 울산 북구(진보당 후보와 단일화)
국민의힘 254 13,179,769 45.08  
진보당 21 302,925 1.04  
새로운미래 28 200,502 0.69  
개혁신당 43 195,147 0.67  
녹색정의당 17 107,029 0.37  
소나무당 2 18,939 0.07 광주 서구갑, 전남 목포시
자유통일당 10 18,700 0.06  
새진보연합 1 14,271 0.05 대구 수성구을
우리공화당 2 12,814 0.04 대구 달서구병, 울산 남구갑
노동당 1 7,465 0.03 울산 동구
한국농어민당 2 2,804 0.01 전남 영암군무안군신안군, 전북 남원시장수군임실군순창군
한국국민당 3 1,917 0.01 서울 광진구을, 서울 중동성동구을, 세종 을
내일로미래로 2 1,333 0.01 서울 강남구병, 인천 계양구을
자유민주당 2 1,245 0.00 인천 서구병, 전북 전주시을
기후민생당 1 778 0.00 서울 영등포구을
민중민주당 1 290 0.00 서울 종로구
기독당 1 218 0.00 광주 서구을
대한국민당 1 85 0.00 서울 종로구
가락특권폐지당 1 54 0.00 서울 종로구
무소속 55 409,761 1.40  
합계   29,234,129    

[ 지역구 최다 득표 당선자, 최소 득표 당선자  ]

전주시병 '더불어민주당' 정동영 당선자가 총 117407표 (82.1%)를 득표하여 최다 득표 당선자이다. 

  - 최다 득표 2위는 군산시김제시부안군갑 더불어민주당 신영대 당선자 (115297표, 86.7%)
  - 최다 득표 3위는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을 더불어민주당 권향엽 당선자 (104493표, 70.1%)

최소 득표 당선자 1위는 울산 동구 더불어민주당 김태선 당선자 (38474표, 45.9%) 이다.
  - 2위는 부산 강서구 국민의힘 김도읍 당선자 (42108표, 55.6%)
  - 3위는 충남 아산시갑 더불어민주당 복기왕 당선자 (42153표, 53.8%)

[ 지역구 1위, 2위 득표율, 득표 수 차이 : 득표율 차이 3% 이하  (근소표차) ]

초접적의 막상막하로 득표 수 차이가 가장 적은 선거구는

창원시 진해구 '국민의 힘' 이종욱 후보(1위, 당선자)와 '더불어민주당' 황기철 후보(2위)가 최소 표차 (497표)로 승패가 갈렸다.

 - 경남 창원시진해구 표차 : 497 (최소 표차 1위, 득표율 0.488 차이, 최소 득표율 차이 1위)

   (총 선거인 수 : 158141 / 22대 총선 투표 수 : 102928 / 무효 투표 수 : 1225)

 - 경기 용인시병 표차 : 851 (득표율 0.524% 차이, 최소 득표율 차이 2위)

   (총 선거인 수 : 220492 / 22대 총선 투표 수 : 163843 / 무효 투표 수 : 1618)

 - 서울 마포구갑 표차 : 599 (최소 표차 3위)

   (총 선거인 수 : 139968 / 22대 총선 투표 수 : 101086 / 무효 투표 수 : 1009)

 - 울산 동구 표차 : 558 (최소 표차 2위)

   (총 선거인 수 : 127134 / 22대 총선 투표 수 : 84726 / 무효 투표 수 : 881)

시도명 선거구명 당선자
소속정당
당선자명 득표율
(%)
2위 후보
소속정당
2위
후보명
득표율
(%)
득표율
차이
득표 수
차이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국민의힘 이종욱 50.2 더불어
민주당
황기철 49.8 0.5 497
경기도 용인시병 더불어
민주당
부승찬 50.3 국민의힘 고석 49.7 0.5 851
서울특별시 마포구갑 국민의힘 조정훈 48.3 더불어
민주당
이지은 47.7 0.6 599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더불어
민주당
허성무 46.4 국민의힘 강기윤 45.7 0.7 982
울산광역시 동구 더불어
민주당
김태선 45.9 국민의힘 권명호 45.2 0.7 568
부산광역시 사하구갑 국민의힘 이성권 50.4 더불어
민주당
최인호 49.6 0.8 693
인천광역시 동구
미추홀구을
국민의힘 윤상현 50.4 더불어
민주당
남영희 49.6 0.9 1025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을 더불어
민주당
김민석 50.2 국민의힘 박용찬 49.0 1.1 1135
경상북도 경산시 국민의힘 조지연 43.4 무소속 최경환 42.3 1.2 1665
서울특별시 도봉구갑 국민의힘 김재섭 49.1 더불어
민주당
안귀령 47.9 1.2 1098
경기도 하남시갑 더불어
민주당
추미애 50.6 국민의힘 이용 49.4 1.2 1199
강원
특별자치도
원주시갑 국민의힘 박정하 50.7 더불어
민주당
원창묵 49.3 1.4 1468
서울특별시 양천구갑 더불어
민주당
황희 49.8 국민의힘 구자룡 48.2 1.6 2326
경기도 수원시정 더불어
민주당
김준혁 50.9 국민의힘 이수정 49.1 1.7 2377
서울특별시 송파구병 더불어
민주당
남인순 51.0 국민의힘 김근식 49.0 2.1 3286
경상남도 양산시을 국민의힘 김태호 51.1 더불어
민주당
김두관 49.0 2.1 2085
경기도 포천시가평군 국민의힘 김용태 50.5 더불어
민주당
박윤국 48.4 2.1 2477
충청북도 충주시 국민의힘 이종배 51.1 더불어
민주당
김경욱 48.9 2.2 2632
서울특별시 강동구갑 더불어
민주당
진선미 50.1 국민의힘 전주혜 47.9 2.2 3302
충청남도 공주시
부여군
청양군
더불어
민주당
박수현 50.7 국민의힘 정진석 48.4 2.2 2780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을
국민의힘 김은혜 51.1 더불어
민주당
김병욱 48.9 2.3 3063
서울특별시 중구성
동구을
더불어
민주당
박성준 50.8 국민의힘 이혜훈 48.5 2.3 2767
경기도 이천시 국민의힘 송석준 51.3 더불어
민주당
엄태준 48.7 2.7 3121
경기도 화성시을 개혁신당 이준석 42.4 더불어
민주당
공영운 39.7 2.7 3278

 

[ 지역구 1위, 2위 득표율, 득표 수 차이 : 득표율 차이 50% 이상  ]

후보간 가장 큰 득표 차이는 전주시병 '더불어민주당' 정동영 후보(1위, 당선자)와 '국민의힘' 전희재 후보(2위)의 99,818표 차이로 최다 표차이다. 

(전주시병 총 선거인 수 : 212820 / 22대 총선 투표 수 : 145369)

시도명 선거구명 당선자
소속정당
당선자명 득표율
(%)
2위 후보
소속정당
2위
후보명
득표율
(%)
득표율
차이
득표 수
차이
전라남도 해남군
완도군
진도군
더불어
민주당
박지원 92.4 국민의힘 곽봉근 7.6   84.7 71843
전라남도 고흥군
보성군
장흥군
강진군
더불어
민주당
문금주 90.7 국민의힘 김형주 9.3   81.4 85577
전라남도 여수시갑 더불어
민주당
주철현 88.9 국민의힘 박정숙 11.1   77.8 60459
광주광역시 동구남구갑 더불어
민주당
정진욱 88.7 국민의힘 강현구 11.3   77.4 72320
전북
특별자치도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을
더불어
민주당
이원택 86.6 국민의힘 최홍우 9.6   77.1 64448
전북
특별자치도
정읍시
고창군
더불어
민주당
윤준병 86.9 국민의힘 최용운 10.5   76.4 69998
전북
특별자치도
익산시을 더불어
민주당
한병도 87.0 국민의힘 문용회 11.1   75.9 56739
광주광역시 북구갑 더불어
민주당
정준호 83.5 국민의힘 김정명 8.5   74.9 77857
광주광역시 광산구갑 더불어
민주당
박균택 81.7 국민의힘 김정현 7.0   74.7 67784
전북
특별자치도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갑
더불어
민주당
신영대 86.7 국민의힘 오지성 13.3   73.5 97658
전북
특별자치도
남원시
장수군
임실군
순창군
더불어
민주당
박희승 83.8 국민의힘 강병무 11.7   72.1 68134
전북
특별자치도
전주시병 더불어
민주당
정동영 82.1 국민의힘 전희재 12.3   69.8 99818
전북
특별자치도
완주군
진안군
무주군
더불어
민주당
안호영 84.2 국민의힘 이인숙 15.8   68.5 59533
전북
특별자치도
익산시갑 더불어
민주당
이춘석 77.1 국민의힘 김민서 10.1   67.0 51241
경상북도 의성군
청송군
영덕군
울진군
국민의힘 박형수 83.3 무소속 심태성 16.7   66.7 64397
전북
특별자치도
전주시갑 더불어
민주당
김윤덕 77.6 국민의힘 양정무 12.0   65.6 70214
광주광역시 광산구을 더불어
민주당
민형배 76.1 새로운미래 이낙연 13.8   62.3 77496
경상북도 상주시
문경시
국민의힘 임이자 77.6 더불어
민주당
이윤희 18.8   58.8 58005
전라남도 목포시 더불어
민주당
김원이 71.4 무소속 이윤석 13.7   57.8 66889
대구광역시 수성구을 국민의힘 이인선 72.8 새진보연합 오준호 15.6   57.3 52516
광주광역시 서구을 더불어
민주당
양부남 71.4 녹색정의당 강은미 14.7   56.7 46115
대구광역시 동구
군위군을
국민의힘 강대식 76.1 진보당 황순규 19.5   56.7 61665
광주광역시 북구을 더불어
민주당
전진숙 72.1 진보당 윤민호 16.3   55.8 77329
경상북도 고령군
성주군
칠곡군
국민의힘 정희용 76.2 더불어
민주당
정석원 21.5   54.7 55791
광주광역시 동구남구을 더불어
민주당
안도걸 70.2 무소속 김성환 16.2   54.0 49693
전라남도 나주시
화순군
더불어
민주당
신정훈 71.1 진보당 안주용 19.8   51.3 53470
광주광역시 서구갑 더불어
민주당
조인철 68.4 소나무당 송영길 17.4   51.0 41975
대구광역시 달성군 국민의힘 추경호 75.3 더불어
민주당
박형룡 24.7   50.6 67589
대구광역시 달서구병 국민의힘 권영진 67.1 우리공화당 조원진 16.8   50.3 37324

[ 비례대표 정당별 득표 ]

22대 총선 투표율, 무효표율 (비례대표)

[ 비례대표 정당별 전체 득표 결과 ]

더불어민주연합과 조국현신당의 비례대표 득표율을 합산하면 약 51.0% 이다. 국민의 미래 36.7%와 비교할 때, 약 14.3% 차이가 있다. 

지역구 후보의 투표와 비례 대표는 다를 수 있으나, 이른바 '지민비조 (지역구는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는 조국혁신당)'와 '지국비조(지역구는 국민의힘, 비례대표는 조국혁신당)' 현상은 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20대 대통령 선거(대선)의 윤석열 당선자의 득표율은 48.1%이고, 2위 이재명 후보의 득표율은 47.4%로 약 7% 차이였다. 더불어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고정층을 고려하면, 중도의 정치성향을 가진 유권자들은 대선과 달리, 한쪽으로 이동했음을 보여준다.

정당명 득표 수 점유비(%)
더불어민주연합     7,567,459 26.7
국민의미래   10,395,264 36.7
녹색정의당       609,313 2.1
새로운미래       483,827 1.7
개혁신당     1,025,775 3.6
자유통일당       642,433 2.3
조국혁신당     6,874,278 24.3
가가국민참여신당         10,242 0.0
가가호호공명선거대한당         29,481 0.1
반공정당코리아           7,820 0.0
가락특권폐지당           4,707 0.0
공화당         14,912 0.1
국가혁명당         67,420 0.2
국민대통합당         30,323 0.1
금융개혁당         20,548 0.1
기독당         36,117 0.1
기후민생당           6,615 0.0
내일로미래로           9,417 0.0
노동당         25,937 0.1
노인복지당         15,178 0.1
대중민주당           7,663 0.0
대한국민당         11,947 0.0
대한민국당           8,527 0.0
대한상공인당           3,783 0.0
미래당         11,505 0.0
새누리당         57,210 0.2
소나무당       124,369 0.4
신한반도당           1,580 0.0
여성의당         28,942 0.1
우리공화당         29,895 0.1
자유민주당         39,977 0.1
케이정치혁신연합당           3,451 0.0
통일한국당           8,518 0.0
한국농어민당         13,035 0.0
한나라당         72,925 0.3
한류연합당           3,894 0.0
홍익당         13,326 0.0
히시태그국민정책당         26,906 0.1
합계   28,344,519  

[ 더불어민주연합 + 조국혁신당 VS. 국민의미래 ]

시군구별 (더불어민주연합 + 조국현신당 득표율) - 국민의 미래 득표율

(*상대 비교)

 

더불어민주연합 + 조국혁신당 VS. 국민의미래

서울 구별 비교

시도명 구시군명 더불어민주연합 조국혁신당 국민의미래 차이
서울특별시 관악구 31.2 22.9 31.2 22.9
서울특별시 은평구 29.7 24.8 32.1 22.4
서울특별시 금천구 32.5 22.1 32.6 22.0
... ...        
서울특별시 용산구 22.2 21.0 42.4 0.8
서울특별시 서초구 15.6 20.3 49.0 -13.1
서울특별시 강남구 14.9 19.3 50.3 -16.1

인천, 경기 시군구별 비교

시도명 구시군명 더불어민주연합 조국혁신당 국민의미래 차이
경기도 시흥시 33.7 25.5 29.1 30.0
경기도 화성시을 26.1 27.5 25.2 28.4
경기도 부천시오정구 35.6 22.0 30.5 27.1
... ..        
경기도 가평군 23.3 17.6 47.3 -6.4
인천광역시 강화군 21.4 16.0 50.6 -13.2
인천광역시 옹진군 23.7 13.5 51.3 -14.2

**지도에 부천, 화성은 한개로 표시

 

부산, 울산 구별 비교

시도명 구시군명 더불어민주연합 조국혁신당 국민의미래 차이
울산광역시 북구 29.2 24.7 33.5 20.4
울산광역시 동구 28.4 21.9 37.0 13.3
부산광역시 강서구 21.9 27.4 40.3 9.0
... ...        
부산광역시 동구 20.6 20.3 49.1 -8.1
부산광역시 서구 18.3 21.5 48.8 -9.0
부산광역시 중구 20.0 19.5 50.1 -10.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