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You can't manage what you can't measure" Peter Drucker
야구

KBO 2024 팀별 선수 프로필 통계 (나이, 신장, 체중, 출신고)

by Vitaminymc 2024. 3. 13.
반응형

[ KBO 2024 시즌 선수단 등록 현황 ⚾ ]

출처 1 (선수 나이, 신장, 체중, 출신고 데이터) : https://www.koreabaseball.com/Player/Search.aspx
출처 2  : KBO 보도자료 '2024 KBO 리그 평균 연봉 ‘역대 최고’ 1억 5,495만원'
https://www.koreabaseball.com/MediaNews/Notice/View.aspx?bdSe=9985

 

KBO 홈페이지

KBO, 한국야구위원회, 프로야구, KBO 리그, 퓨처스리그, 프로야구순위, 프로야구 일정

www.koreabaseball.com

최고령-최연소, 최장신-최단신 선수는?
2024 시즌 KBO 리그 최고령 선수는 41세 6개월 19일의 SSG 추신수다. 
최연소 선수는 18세 1개월 10일의 KIA 이상준이다(소속선수 등록 마감 2월 1일 기준). 

삼성은 2024 시즌 최장신, 최단신 선수를 모두 보유한 팀이 됐다. 
삼성에 새롭게 합류한 투수 레예스가 198 cm로 최장신 선수로 등록됐고, 
최단신 선수는 163cm로 등록된 김지찬, 김성윤이다.

KBO 리그 원년과 2024시즌을 비교하면 어떨까?
1982시즌 선수단의 평균 연봉은 1,215만원이었다.
2024 시즌에는 1억 5,495만원으로 42년 동안 1억 4,280만원 증가했다.
평균 신장은 1982시즌 176.5cm에서 현재는 5.7cm 증가한 182.2 cm 로 기록됐으며
평균 체중도 73.9 kg에서 13.9 kg 증가한 87.8 kg 이다.

 
*아래 평균 나이, 신장, 체중은 보도자료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아래 결과는 KBO 홈페이지의 선수 정보 기반 계산)

[ 팀별 등록 선수 인원(명) ]

KIA KT LG NC SSG 두산 롯데 삼성 키움 한화 합계
59 59 54 58 59 59 61 61 58 60 588

[ KBO 2024  시즌 등록 선수 나이 (평균 연령, 최고령) ]

[ 팀별 평균 연령 ]

KBO 10구단 전체 588명 (외국인 30명 포함)의 평균 연령은 27.3세
삼성 라이온즈가 평균 28.0세로 가장 많고, 키움 히어로즈가 평균 25.6세로 가장 적음

KIA KT LG NC SSG 두산 롯데 삼성 키움 한화
27.5 27.7 27.5 26.6 27.7 27.1 27.5 28.0 25.6 27.3

 

[ 팀별 최고령 선수 ]

1982년생(42세) 선수가 3명 (추신수, 오승환, 김강민)이 등록되어 있으며, 1982년생 중 생일까지 고려한 최고령은 SSG의 추신수 선수 (추신수 선수와 오승환 선수의 생일은 2일 차이)

성명 등번호 포지션 생년월일 나이*
KIA 최형우 34 외야수 1983-12-16   41
KT 박경수 6 내야수 1984-03-31   40
LG 허도환 30 포수 1984-07-31   40
NC 손아섭 31 외야수 1988-03-18   36
SSG 추신수 17 외야수 1982-07-13   42
두산 김재호 52 내야수 1985-03-21   39
롯데 진해수 31 투수 1986-06-26   38
롯데 전준우 8 외야수 1986-02-25   38
삼성 오승환 21 투수 1982-07-15   42
키움 이용규 15 외야수 1985-08-26   39
한화 김강민 9 외야수 1982-09-13   42

*나이는 2024년 12월 31일 기준의 만 나이


[ KBO 2024  시즌 등록 선수 신장 (평균 신장, 최장신, 최단신) ]

[ 팀별 평균 신장 ]

KBO 10구단 전체 588명 (외국인 30명 포함)의 평균 연령은 182.5cm (보도 자료는182.2cm)
최장신은 삼성 라인온즈 레예스 (198cm), 최단신은 삼성 라이온즈 김지찬 (163cm), 김성윤 (163cm)

 - 역대 최장신 : 시스코(KT 15) 208cm
 - 역대 최단신 : 김성윤(삼성 17~18, 20~24), 김지찬(삼성 20~24) 163cm

  KIA KT LG NC SSG 두산 롯데 삼성 키움 한화 전체
평균 182.4 181.9 183.0 183.9 182.2 182.4 182.7 182.7 181.0 182.5 182.5
최단신 165 170 171 174 168 175 172 163 169 174 163
최장신 193 189 193 196 193 193 196 198 194 192 198

[ 팀별 최장신, 최단신 선수 ]

성명 등번호 포지션 생년월일 신장, 체중
KIA 네일 40 투수 1993-02-08 193cm, 83kg
김선빈 3 내야수 1989-12-18 165cm, 77kg
KT 소형준 30 투수 2001-09-16 189cm, 92kg
로하스 3 외야수 1990-05-24 189cm, 102kg
조용호 23 외야수 1989-09-09 170cm, 75kg
LG 정우영 16 투수 1999-08-19 193cm, 99kg
이상영 26 투수 2000-12-03 193cm, 95kg
신민재 4 내야수 1996-01-21 171cm, 67kg
NC 하트 30 투수 1992-11-23 196cm, 90kg
손아섭 31 외야수 1988-03-18 174cm, 84kg
SSG 서상준 61 투수 2000-01-14 193cm, 108kg
정동윤 51 투수 1997-10-22 193cm, 103kg
최경모 52 내야수 1996-06-17 168cm, 73kg
두산 알칸타라 43 투수 1992-12-04 193cm, 100kg
여동건 5 내야수 2005-08-04 175cm, 75kg
김태근 8 외야수 1996-08-10 175cm, 74kg
정수빈 31 외야수 1990-10-07 175cm, 70kg
이유찬 7 내야수 1998-08-05 175cm, 68kg
롯데 레이예스 29 외야수 1994-10-05 196cm, 87kg
황성빈 0 외야수 1997-12-19 172cm, 76kg
이호준 98 내야수 2004-03-20 172cm, 72kg
삼성 레예스 43 투수 1996-11-02 198cm, 113kg
김지찬 58 내야수 2001-03-08 163cm, 64kg
김성윤 39 외야수 1999-02-02 163cm, 62kg
키움 김동규 43 투수 2004-07-09 194cm, 100kg
김태진 1 내야수 1995-10-07 169cm, 73kg
한화 이태양 46 투수 1990-07-03 192cm, 97kg
문현빈 64 내야수 2004-04-20 174cm, 82kg
이상혁 65 외야수 2001-09-14 174cm, 65kg

 


[ KBO 2024  시즌 등록 선수 체중 (평균 체중, 최중량, 최경량) ]

[ 팀별 평균 체중 ]

KBO 10구단 전체 588명 (외국인 30명 포함)의 평균 체중은 87.5kg (보도 자료는87.8kg)
최중량은 한화 이글스 김민우 (123kg), 최경량은 삼성 라이온즈 김성윤 (62kg)

 - 역대 최중량 : 이대호(롯데11, 18~21), 백민규(두산17, 19), 최준석(롯데14, 17) 130kg
 - 역대 최경량 : 김성갑(태평양92) 60kg

  KIA KT LG NC SSG 두산 롯데 삼성 키움 한화 전체
평균 88.5 85.2 88.3 88.2 87.2 86.1 88.8 87.0 87.2 89.0 87.5
최경량 68 68 67 69 72 68 72 62 73 65 62
최중량 108 107 110 115 108 106 118 113 109 123 123

[ 팀별 최중량, 최경량 선수 ]

팀명 성명 등번호 포지션 포지션 생년월일 체격
KIA 크로우 12 투수 투수 1994-09-09 185cm, 108kg
고명성 2 내야수 내야수 1999-04-16 178cm, 68kg
박정우 15 외야수 외야수 1998-02-01 175cm, 68kg
KT 박병호 52 내야수 내야수 1986-07-10 185cm, 107kg
김상수 7 내야수 내야수 1990-03-23 175cm, 68kg
LG 윤호솔 28 투수 투수 1994-07-15 183cm, 110kg
김범석 55 포수 포수 2004-05-21 178cm, 110kg
신민재 4 내야수 내야수 1996-01-21 171cm, 67kg
NC 서의태 58 투수 투수 1997-09-05 194cm, 115kg
조현진 46 내야수 내야수 2002-09-10 182cm, 69kg
SSG 서상준 61 투수 투수 2000-01-14 193cm, 108kg
김성현 6 내야수 내야수 1987-03-09 172cm, 72kg
두산 김기연 45 포수 포수 1997-09-07 178cm, 106kg
박소준 18 투수 투수 1995-01-21 177cm, 68kg
이유찬 7 내야수 내야수 1998-08-05 175cm, 68kg
롯데 김도규 23 투수 투수 1998-07-11 192cm, 118kg
이호준 98 내야수 내야수 2004-03-20 172cm, 72kg
삼성 레예스 43 투수 투수 1996-11-02 198cm, 113kg
김성윤 39 외야수 외야수 1999-02-02 163cm, 62kg
키움 후라도 75 투수 투수 1996-01-30 187cm, 109kg
최주환 53 내야수 내야수 1988-02-28 177cm, 73kg
김태진 1 내야수 내야수 1995-10-07 169cm, 73kg
한화 김민우 53 투수 투수 1995-07-25 186cm, 123kg
이상혁 65 외야수 외야수 2001-09-14 174cm, 65kg

[ KBO 2024  시즌 등록 선수 출신고  ]

KBO 10구단 전체 558명 (외국인 30명 제외)의 출신 고등학교는 경남고가 32명으로 가장 많으며, 광주제일고와 서울고가 24명, 북일고 21명, 경기고와 장충고가 20명 순임
(전국 고등학교 중 야구부가 있는 고등학교 리스트라 볼 수 있다)

Rank 출신 고등학교 출신 선수 (명) 비고
1 경남고 32 KT : 김준태, 신본기, 장성우, 장준원, 하준호 /
LG : 김범석, 김유영, 손주영 / NC : 신영우, 심창민, 이준호, 한석현 /
SSG : 김정민, 김찬형, 서진용, 전의산, 최민준, 한유섬 /
두산 : 윤준호, 이원재 / 롯데 : 이주찬, 정보근, 최준용, 한동희, 한현희 /
키움 : 고영우, 김주형, 박윤성, 예진원, 이주형 / 한화 : 김건, 노시환
2 광주제일고 24 KIA : 서건창, 윤도현, 윤중현, 이의리, 정해영 / KT : 이호연 /
NC : 김영규, 박시원, 채원후 / SSG : 김성현, 김창평, 조형우, 최지훈, 한두솔 /
두산 : 허경민 / 롯데 : 정성종 / 삼성 : 류승민 / 키움 : 박준형, 송지후, 정찬헌 /
한화 : 성지훈, 유로결, 장민재, 장진혁
2 서울고 24 KIA : 장현식 , 주효상, 최원준 / KT : 강백호 / LG : 이재원, 정우영, 최원태, 허도환 /
NC : 박건우, 배재환, 송승환 /  두산 : 여동건, 이교훈, 이병헌 /
롯데 : 유강남, 이인복, 정우준 / 삼성 : 김대우, 이재현 /
키움 : 이형종, 전준표, 주승우 / 한화 : 김서현, 안치홍
4 북일고 21 KIA : 변우혁, 유지성 / KT : 안치영 / LG : 윤호솔, 이우찬 /
SSG : 김민준, 최상민 / 두산 : 강승호, 김인태, 이유찬, 최준호 /
롯데 : 고승민, 신정락 / 삼성 : 김동엽, 장필준 / 키움 : 박찬혁 /
한화 : 김범수, 문현빈, 이도윤, 임종찬, 장시환
5 경기고 20 KIA : 고종욱, 이상준, 황대인 / KT : 오윤석, 황재균 / LG : 오지환 /
NC : 김민균, 서의태 / SSG : 강진성, 김성민 /
두산 : 김강률, 김문수, 박신지, 박준영 /
삼성 : 오승환, 최성훈, 최하늘, 홍무원 / 키움 : 박승주 / 한화 : 허관회
5 장충고 20 KIA : 김현수, 박찬호 / KT : 박민석, 정준영 / LG : 구본혁, 성동현 /
NC : 송명기, 이용찬 / SSG : 최준우 / 두산 : 양찬열 / 롯데 : 이진하, 최이준 /
삼성 : 육선엽 / 키움 : 김병휘, 김윤하, 송성문 /
한화 : 권광민, 이민준, 조동욱, 황준서
8 경북고 19 KIA : 임기영 / KT : 강민성, 김상수, 박세진, 이상동 / LG : 문성주 /
NC : 박한결 / SSG : 최경모 / 두산 : 김명신, 임종성 /
롯데 : 박세웅, 전미르, 진승현 / 삼성 : 박준용, 원태인, 이상민, 최충연, 황동재 /
한화 : 김강민
8 부산고 19 KIA : 김대유, 김태군 / KT : 원상현 / LG : 이상영 / 
NC : 김수윤, 김재열, 도태훈, 류진욱, 손아섭, 안중열 /
SSG : 추신수 / 두산 : 백승우, 최종인 / 롯데 : 박진, 정현수 / 삼성 : 최지광 /
키움 : 윤석원 / 한화 : 정이황, 한승주
8 인천고 19 KIA : 이창진 / LG : 김현종, 백승현, 신민재 / NC : 임형원, 한재승 /
SSG : 박민호, 박시후, 백승건, 이정범 / 두산 : 김재환, 김택연 /
삼성 : 공민규, 이호성 / 한화 : 윤대경, 이명기, 이재원, 장규현, 정은원
10 광주동성고 18 KIA : 김기훈, 김도영, 김석환, 양현종, 한준수 / KT : 김영현 / NC : 김진호 /
SSG : 신범수, 신헌민 / 두산 : 김민혁, 최지강 / 롯데 : 김원중, 노진혁 /
삼성 : 이성규, 임창민 / 키움 : 김시앙, 이원석, 최주환
10 유신고 18 KT : 강현우, 김민, 김병준, 박영현, 소형준, 이선우, 조대현, 홍현빈 /
LG : 정지헌 / NC : 김주원 / SSG : 최정 / 두산 : 정수빈 / 롯데 : 최항
삼성 : 김태훈(외야수), 이재익 / 한화 : 김기중, 김진욱, 박상언
12 휘문고 16 KIA : 정해원 / KT : 신병률, 우규민 / LG : 김주성, 임찬규 /
NC : 김휘건, 박민우 / SSG : 박대온, 이승민 / 두산 : 김대한, 김민규 /
롯데 : 김민석, 이정훈 / 삼성 : 김재윤 / 한화 : 박상원, 정안석
14 성남고 14 KT : 김건웅, 박경수, 박병호, 배정대, 성재헌, 손동현 /
SSG : 노경은, 전경원 / 두산 : 서예일 / 롯데 : 오선진 /
키움 : 김동규, 이재상, 이종민 / 한화 : 장지수
14 신일고 14 LG : 김태우, 김현수, 문보경, 박해민, 최승민 / NC : 박세혁, 임정호 /
두산 : 양석환, 최원준 / 롯데 : 김상수 / 삼성 : 김도환 /
키움 : 김태진, 김휘집 / 한화 : 하주석
14 충암고 14 KIA : 윤영철 / LG : 강효종 / NC : 박영빈, 박주현 / 두산 : 안승한 /
롯데 : 이태연, 이학주 / 삼성 : 류지혁, 홍정우 / 키움 : 김동헌, 문성현, 박수종 /
한화 : 이원석, 이충호
16 덕수고 13 2007.03.01: 덕수정보고에서 덕수고로 교명 변경 및 일반계학급 신설
덕수고 13명 + 덕수정보고 3명으로, 총 16명
KIA : 박정우, 한승택 / KT : 엄상백 / 롯데 : 나승엽, 이선우 / 삼성 : 김재성 /
키움 : 김동혁, 김재웅, 임병욱, 임지열, 장재영 / 한화 : 최재훈, 한승혁
16 세광고 13 KIA : 김유신, 최정용 / NC : 김형준 / SSG : 고명준, 고효준, 박지환, 조병현 /
두산 : 오명진 / 롯데 : 정대선 / 삼성 : 서현원 / 키움 : 김선기, 김연주, 이명종
18 강릉고 12 KIA : 김승현, 조대현, 최지민, 홍종표 / KT : 육청명 / LG : 이믿음 /
NC : 박주찬 / 두산 : 권민석, 조수행 / 롯데 : 김진욱, 박진형 /
삼성 : 김시현
18 야탑고 12 KIA : 박민 / KT : 조용호 / LG : 김성진 / NC : 신민혁 / SSG : 오원석, 정동윤 /
두산 : 박정수, 이승진 / 롯데 : 우강훈, 윤동희 / 삼성 : 오재일 / 한화 : 김태연
20 대구상원고 11 KIA : 전상현 / LG : 배재준 / NC : 임상현 / SSG : 류효승, 채현우 /
롯데 : 박승욱, 이호준 / 삼성 : 김민수, 백정현, 최채흥 / 한화 : 배민서
23 대전고 10 KIA : 이우성 / LG : 안익훈 / SSG : 송영진 / 두산 : 전민재 / 롯데 : 홍민기 /
삼성 : 양현 / 키움 : 김재현, 박성빈, 조상우 / 한화 : 조한민
23 선린인터넷고 10 KIA : 김규성 / KT : 김민성 / LG : 김대현, 김영준, 송찬의 /
두산 : 김동주, 이영하, 홍성호 / 키움 : 오상원 / 한화 : 이진영
23 용마고 10 KIA : 장민기 / KT : 이정현, 이채호 / NC : 오영수 / SSG : 안상현, 하재훈 /
롯데 : 나균안, 정훈 / 한화 : 강재민, 김민우
23 제물포고 10 KT : 김민석, 박시영 / LG : 김민수 / SSG : 이지영 / 두산 : 박치국, 장승현 /
롯데 : 김동혁 / 삼성 : 이병헌 / 키움 : 김수환, 변상권
23 진흥고 10 KIA : 나성범 / KT : 천성호 / LG : 김윤식 / NC : 김성욱, 윤형준 /
두산 : 김기연, 양의지 / 삼성 : 김호진 / 키움 : 하영민 / 한화 : 문동주
26 화순고 9 KIA : 김사윤, 김선빈, 이형범 / KT : 고영표 / NC : 천재환 /
두산 : 홍건희 / 삼성 : 이승현 / 한화 : 김인환
27 개성고 8 LG : 박동원 / NC : 최보성 / 롯데 : 심재민, 임준섭, 최설우 /
삼성 : 김현준, 전병우 / 키움 : 주성원
27 대구고 8 KT : 김정운 / NC : 이재학, 홍유원 / SSG : 이로운, 현원회 /
삼성 : 구자욱, 이승민 / 키움 : 신준우
31 군산상고 7 KIA : 고명성, 김호령 , 이준영 / LG : 김진수, 이종준 / SSG : 박종훈 / 키움 : 원종현
31 배명고 7 KIA : 김민주, 오선우 / KT : 문상철 / LG : 유영찬 / SSG : 문승원 /
두산 : 곽빈, 김태근
31 안산공고 7 KT : 전용주 / LG : 홍창기 / SSG : 김광현 / 두산 : 김호준, 정철원 /
롯데 : 김도규 / 삼성 : 강한울
31 청원고 7 KT : 김민수, 문용익 / LG : 전준호 / SSG : 오태곤 /
롯데 : 구승민, 김강현 / 한화 : 이상규
31 청주고 7 KT : 주권 / NC : 최정원 / SSG : 박기호 / 두산 : 박소준 /
롯데 : 강성우, 지시완 / 한화 : 주현상
31 효천고 7 순천효천고BC 1명 포함하는 경우, 총 8명
KIA : 유승철 / NC : 서호철 / SSG : 박성한 / 두산 : 박계범 /
한화 : 이민우, 이태양, 채은성
35 동산고 6 SSG : 이건욱, 이기순, 최현석 / 두산 : 김정우 / 롯데 : 장두성 / 키움 : 김혜성
35 마산고 6 NC : 김시훈, 신용석, 조현진 / SSG : 김민식 / 두산 : 박지훈 / 롯데 : 신윤후
37 전주고 5 KIA : 김찬민, 최형우 / 삼성 : 박권후 / 키움 : 김인범, 손현기
40 김해고 4 KT : 윤강찬 / LG : 손용준 / NC : 김태현 / 두산 : 김유성
40 부경고 4 롯데 : 강태율, 진해수 / 삼성 : 김태훈(투수), 안주형
40 배재고 4 KT : 김민혁 / LG : 김성우 / NC : 김한별 / 한화 : 이재용
40 장안고 4 KT : 강건, 이태규 / 롯데 : 손성빈 / 한화 : 이상혁
44 덕수정보고 3 1997.02.13: 덕수상고에서 덕수정보산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2007.03.01: 덕수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및 일반계학급 신설
덕수고 13명 + 덕수정보고 3명으로, 총 16명
KIA : 김건국 / 롯데 : 김민성 / 키움 : 이용규
44 라온고 3 LG : 박명근 / 롯데 : 송재영 / 삼성 : 김지찬
* 라온은 즐거운이라는 뜻의 순우리말
44 설악고 3 NC : 최성영 / 두산 : 전다민 / 삼성 : 김동진
44 소래고 3 LG : 이지강 / 두산 : 최승용 / 롯데 : 황성빈
44 제주고 3 KT : 조이현 / 삼성 : 김재혁 / 키움 : 오석주
44 충훈고 3 LG : 김대원, 손호영 / 한화 : 황영묵
52 경주고 2 NC : 권희동 / 롯데 : 전준우
52 공주고 2 KIA : 곽도규 / 한화 : 김규연
52 구리인창고 2 KIA : 강이준 / SSG : 정성곤
52 부산정보고 2 NC : 전사민 / 한화 : 남지민
52 부천고 2 삼성 : 윤정빈, 홍원표
52 서울디자인고 2 NC : 소이현, 이용준
52 울산공고 2 SSG : 김주온 / 키움 : 김웅빈
52 원주고 2 LG : 함덕주 / 키움 : 김건희
52 중앙고 2 KIA : 박준표 / 두산 : 김재호
52 포항제철고 2 삼성 : 김성윤 / 한화 : 최인호
66 Timberline(고) 1 KT 김건형 (1996-07-12)
먼우금초-Lesbois(중)-Timberline(고)-Boise State(대)
66 경기상고 1 삼성 김재상
66 경기항공고 1 삼성 김서준
66 경남상고 1 한화 정우람
66 경동고 1 LG 최동환
66 군산상일고 1 삼성 정민성
66 글로벌선진학교 1 LG 진우영 (2001-02-05) 성동초-글로벌선진학교
66 물금고 1 삼성 김영웅
66 백송고 1 키움 조영건
66 비봉고 1 NC 최우석
66 성남서고 1 LG 김진성
66 순천효천고BC 1 효천고 야구부 재정상의 문제로 해체로
2021년 10월에 효천 BC(Baseball Club)로 등록
66 영문고 1 SSG 서상준
66 율곡고야구단 1 키움 김지성
66 인상고 1 KIA 황동하
66 제주관광고 1 삼성 김헌곤
66 포철공고 1 삼성 강민호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야구부는 마이스터고 지정 후, 포항제철고등학교로 이관)
 -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야구부 : 1981년~2012년
 - 포항제철고등학교 야구부 : 2013년~현재

[ 팀별 출신고 분포 (출신고 상위 20 기준)  ]

연고 지역에 따라 해당 지역의 고등학교 출신선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편임 (2023 시즌 신인드래프트부터 전면 드래프트 재시행, 연고 우선지명제 폐지, 2010~2013 전면 드래프트 시행)
- 기아 타이거즈 : 광주제일고, 광주동성고 각 5명, 강릉고 4명
- KT 위즈 : 유신고 8명, 성남고 6명, 경남고 5명, 경북고 4명
- LG 트윈스 : 신일고 5명, 서울고 4명
- NC 다이노스 : 부산고 6명, 경남고 4명 (두 학교 모두 롯데 지역 연고 학교)
- SSG 랜더스 : 경남고 6명, 광주제일고 5명, 인천고 4명, 세광고 4명
- 두산 베어스: 경기고 4명, 북일고 4명
- 롯데 자이언츠 : 경남고 5명
- 삼성 라이온즈 : 경북고 5명, 경기고 4명
- 키움 히어로즈 : 덕수고 5명, 경남고 5명
- 한화 이글스 : 북일고 5명, 인천고 5명, 광주제일고, 장충고 각 4명

특이하게, SSG에 경남고(6명), 광주제일고(5명), 두산에 북일고(4명), 키움에 경남고 (5명), 한화에 인천고 (5명)가 가장 많음

고등학교 KIA KT LG NC SSG 두산 롯데 삼성 키움 한화 합계
경남고   5 3 4 6 2 5   5 2 32
광주제일고 5 1   3 5 1 1 1 3 4 24
서울고 3 1 4 3   3 3 2 3 2 24
북일고 2 1 2   2 4 2 2 1 5 21
경기고 3 2 1 2 2 4   4 1 1 20
장충고 2 2 2 2 1 1 2 1 3 4 20
경북고 1 4 1 1 1 2 3 5   1 19
부산고 2 1 1 6 1 2 2 1 1 2 19
인천고 1   3 2 4 2   2   5 19
광주동성고 5 1   1 2 2 2 2 3   18
유신고   8 1 1 1 1 1 2   3 17
휘문고 1 2 2 2 2 2 2 1   2 16
성남고   6     2 1 1   3 1 14
신일고     5 2   2 1 1 2 1 14
충암고 1   1 2   1 2 2 3 2 14
덕수고 2 1         2 1 5 2 13
세광고 2     1 4 1 1 1 3   13
강릉고 4 1 1 1   2 2 1     12
야탑고 1 1 1 1 2 2 2 1   1 12
대구상원고 1   1 1 2   2 3   1 1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