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You can't manage what you can't measure" Peter Drucker
데이터 분석 (with Rstudio)

Rstudio 서울 수돗물 BOD 데이터 분석

by Vitaminymc 2023. 8. 25.
반응형

2023.8.24 일본은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오염수를 해양 방류 시작

1945년 8월 6일과 8월 9일에 원자 폭탄을 맞은 일본은 핵 방사능 물질 위험을 가장 잘 알 것 같은데, 2차 세계대전 전범국인 일본은 2023년 8월 24일에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해양 테러를 저질렀다.
8월 24일 방류를 시작하여, 앞으로 30년 동안 방류한다고 하나, 과연 30년 만에 끝날 수 있을지는 모른다.
몇몇 과학자들은 ALPS(다핵종 제거 설비)를 통해 대부분 핵종 물질은 처리되고, 걸러지지 않는 삼중수소는 대량의 바닷물에 희석되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하다고 한다.
한 번도 시도되지 않은 일에 수학적 계산을 근거로 과학적이라고 하는 것은 과연 과학적인지 모르겠다.
인류가 아직도 모르는 현상이 많은데, 이런 사람들은 자만과 위선자 또는 정치인 같다. 
과학은 실험을 통해서 증명이 되어야 하고, 제시된 이론은 재현될 수 있어야 한다.
과학자들은 함부로 100%를 말하지 않는다. 과학자들이 쓴 논문을 봐라, 그 누구도 확신하지 않는다.
대한민국 정부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외치며, 계획이 과학적 기술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모순된 논리로 이런 범죄 행위를 방조하였다. 본인들의 영광을 위해서 나라와 국민을 팔아먹은 조선말 매국노와 뭐가 다른가
 
시뮬레이션 결과, 우리나라 해역에는 2년 뒤부터 일부 유입되고, 4~5년 뒤에 본격적으로 유입되나, 현재 우리나라 해역의 삼중수소 농도보다 10만 분의 1 정도 증가할 정도로 변화는 매우 작다고 한다.
http://www.fisheco.com/news/articleView.html?idxno=82261 
이것은 해류에 대한 시뮬레이션이지, 해양 생태계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바닷속 어류와 해조류를 사람이 먹었을 때, 영향도는 확인되지 않았다. 희석되어 소량이라고 하나, 30년간 지속된다면... 
APLS를 통한 처리가 과학적으로 기술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가정하더라도, 
일본의 Hardware 제작 기술은 세계적이다. 그러나, Software 개발 역량은 낮은 편이다.
과연 제대로 Monitoring 하고 적기 통제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아직도 결재 도장을 찍는 나라에서 이슈 보고하고 조치하는데만 하루 걸릴 것 같은데...
일본 도쿄전력 (TEPCO, Tokyo Electric Power Company Holdings, Incorporated)이 제공한 IAEA 분석 Data와
앞으로 Monitoring을 위해서 제공되는 Data의 수집 횟수 및 방법, 제공되는 Data가 Raw Data 인지, 가공된 Data인지는 중요한 확인 사항임
TEPCO 홈페이지에 들어가 자료를 확인한 결과, 일부 한국어 서비스 하나, 홈페이지 구성이 잘 되어 있지도 않고,
일본어로 된 PDF 자료만 확인함 

https://www.tepco.co.jp/en/decommission/progress/watertreatment/link/index-e.html
https://shorisui-monitoring.env.go.jp/en/map/02/

과학적 검증과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과학 발전을 통해서 인류는 풍요로운 삶을 살고 있지만, 중요한 것은 과학만으로 세상이 움직이진 않는다. 
과학적으로 행동하지 않는다고 해서, 과학을 부정한다고 해서, 그 사람이 괴담꾼이나 바보가 아니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Insight를 얻지만, 데이터만으로 의사결정을 하지 않는다. 
데이터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잘 못된 의사결정이 아니고, 오히려 잘 되는 경구도 있다.
그것은 과학과 데이터자 모든 것을 설명할 수는 없게 때문이다.

당신은 수돗물을 식수로 마시는가?

한국수자원공사는 정수처리공정을 최적화하고 취약한 정수처리설비를 개선하여, 최근 5년간 글로벌 수질기준 달성율이 99.9% 이상의 세계 최고 수준의 수돗물을 생산하고 있다고 한다.
( https://www.kwater.or.kr/busi/water02/highQualityServicePage.do?s_mid=1863 )
이러한 세계 최고 수준의 수돗물을 당신은 직접 마시고 있는가에 대답이,
당신은 모든 판단 기준과 행동이 과학적이기 때문에, 일본의 오염수 방류를 문제가 없다고 말할 수 있다.

환경부 수돗물 먹는 실태 조사 보고서

https://me.go.kr/home/web/policy_data/read.do?pagerOffset=0&maxPageItems=10&maxIndexPages=10&searchKey=title&searchValue=%EC%88%98%EB%8F%97%EB%AC%BC&menuId=10264&orgCd=&condition.toInpYmd=null&condition.fromInpYmd=null&condition.deleteYn=N&condition.deptNm=null&seq=7776 

  • 한국수자원공사와 각 지자체가 수돗물은 안전하다고 하는데, 왜 국민들은 정수기 설치나 생수를 구매하여 물을 먹을까? (정수기 + 먹는 샘물 : 74.8%)
  • 수돗물을 그대로 먹거나 끊여서가 24% 점유 (환경부 과거 통계를 보면, 그대로 먹는 비율은 1~2.5% , 아래 '수돗물수질개선종합대책' 보고서 참고)

환경부 2021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 결과보고서(2021.10.)(P.20)
환경부 2021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 결과보고서(2021.10.)(P.21)

  • 지역별로 보면, 전체 비율대비 서울은 생수 구매 비율이 높은 편이며, 부산은 정수기 설치 비율이 높음
  • [보고서 내용] ' 수돗물에 정수기를 설치해서' 응답은 인천 (54.6%), 울산 (53.5%), 세종 (53.2%) 경기 (52.2%), 부산  (52.1%)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보고서 내용] 전북 (39.8%) 지역은 '수돗물을 그대로 먹거나 끓여서', 제주 (49.2%) 지역은 '먹는 샘물(생수)을 구매해서'를 가장 높은 비율로 응답함

환경부 2021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 결과보고서(2021.10.)(P.22)

  • 젊은 연령일 수록 '생수 구매' 비율이 높음
  • [보고서 내용] 연령별로는 , '20대 이하 (71.9%), '‘먹는 샘물(생수)을 구매해서’, '60대 (43.5%), ‘수돗물을 그대로 먹거나 끓여서'를’ 가장 높은 비율로 응답함

수돗물수질개선종합대책 (2005-01-06)

수돗물수질개선종합대책 (2005.1) (P.1)

수돗물 관련 공공 데이터

'수돗물 품질보고서' 검색 결과, 서울, 부산, 대구, 대전, 수원, 고양, 원주, 세종 등 지역별로 제공됨

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

  • 전체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평균이 기준치 이하이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는 결론은 애매함 
    • 최대치가 2.0을 넘는 경우는 문제가 없는 것이 맞는지, 관리 강화의 필요성은 없는지 궁금함
    • "2017년까지의 평균 수질은 비교적 양질의 수질입니다"은 면피는 할 수 있을 것 같음
  • 기업이나 관공서나 정기 보고서에 숫자만 변경하고 관련 내용은 동일한 것은 지양 필요
  • 보고서에 2022년 데이터가 2021년과 동일하게 기입되어 있다면, 작성 오류 가능성이 있음 
    • 2022년 1월~12월 수질검사 결과를 확인하니, 2022년 아리수품질보고서에 기입된 숫자와 다름
    • 평균은 2.0 이하이나, 월별 2.0을 초과하는 월이 여러 번 있음
    • 원수 수질과 정수 수질은 다를 수 있고, 계절 (수온과 강수량 등) 영향으로 BOD는 변동이 있겠으나, 2.0을 초과하는 것이 괜찮은 것이 다시 한번 궁금함

2013~2022 아리수 품질보고서 (상수원 BOD)

Data Source : 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https://arisu.seoul.go.kr/) 수돗물품질보고서

보고
년도
광암 강북 암사 구의 자양 풍납 평균
평균 최대 평균 최대 평균 최대 평균 최대 평균 최대 평균 최대
2022 1.9 2.8 1.8 3.1 2.0 3.3     1.6 3.3 1.9 3.6 1.8
2021 1.9 2.8 1.8 3.1 2.0 3.3     1.6 3.3 1.9 3.6 1.8
2020 1.5 1.8 1.4 2.0 1.9 2.3     1.5 2.0 1.7 2.3 1.6
2019 1.6 2.2 1.6 2.1 1.7 2.4     1.7 2.3 1.7 2.5 1.7
2018 1.7 2.3 1.7 2.2 1.8 2.3     1.7 2.3 1.8 2.5 1.7
2017 1.8 2.5 1.7 2.3 1.9 2.5     1.9 2.4 1.9 2.5 1.8
2016 1.7 2.1 1.6 2.0 1.9 2.2     1.8 2.1 2.0 2.3 1.8
2015 1.6 2.0 1.6 2.1 1.9 2.3     1.8 2.1 1.9 2.3 1.8
2014 1.3 2.1 1.3 2.0 1.5 2.3 1.5 2.0 1.5 2.1 1.6 2.2 1.5
2013 1.5 2.9 1.5 3.0 1.6 3.1 1.6 3.1 1.6 3.0 1.7 3.5 1.6

2022년 아리수품질보고서 (P.15)

2021.1~2022.12 원정수 법정수질검사결과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Data Source : 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https://arisu.seoul.go.kr/) 정수장별 수질검사결과

2022 2021
광 암 강북 암사 자 양 풍 납 광 암 강북 암사 자 양 풍 납
1 2.4 1.8 2.1 1.8 1.9 2.2 2.4 3.3 2.8 2.8
2 2.1 2.4 2.2 3.0 2.1 2.8 2.2 2.3 3.2 2.9
3 2.2 2.0 2.3 5.7 2.5 2.8 2.7 2.6 3.3 3.6
4 2.2 2.0 1.9 2.0 2.3 1.9 3.1 2.7 2.1 2.2
5 1.1 0.8 1.1 0.6 1.1 2.3 1.9 1.8 1.1 1.2
6 0.6 0.6 0.9 0.3 0.8 1.6 1.5 2.2 1.6 1.9
7 1.4 1.0 1.3 0.9 0.8 1.1 1.1 1.2 0.6 1.1
8 0.9 0.7 1.2 0.9 0.5 1.8 1.2 1.6 0.6 1.0
9 0.8 0.2 0.6 0.4 0.1 1.4 1.1 1.2 0.7 0.9
10 0.5 0.7 0.7 0.9 0.4 1.1 1.0 1.5 0.6 1.4
11 1.4 0.9 1.1 1.2 0.7 1.5 1.1 1.8 0.9 1.4
12 0.6 0.3 0.4 0.5 0.4 2.1 2.0 2.2 1.8 1.8
평균 1.4 1.1 1.3 1.5 1.1 1.9 1.8 2.0 1.6 1.9
최대값 2.4 2.4 2.3 5.7 2.5 2.8 3.1 3.3 3.3 3.6
전체
평균
1.3 1.8

2022년 3월 원정수 법정수질검사결과 (P.6)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2023 부산광역시 수돗물품질보고서 (2023.6.5)
2023 부산광역시 수돗물품질보고서 (2023.6.5)

  • 원수의 평균 BOD와 TOC는 수질 등급에 따라, 기준 이하로 문제가 없는 것처럼 보이게 작성됨

2023 부산광역시 수돗물품질보고서 (2023.6.5)

  • 취수원의 원수 데이터를 보면, 수질기준(II등급)을 초과하는데 문제가 없는 건지 궁금함

Rstudio

BOD 내장 데이터

R에는 BOD 내장 데이터가 있음

  • BOD 데이터 세트는 Biochemical Oxygen Demand(BOD, 생물화학적 산소 요구량)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
  • BOD는 수질 오염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인데, 이 데이터 세트는 BOD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시계열 데이터
  • BOD 데이터 세트는 다음과 같은 열로 구성됨
    • Time: 시간 단위로 측정된 값
    • demand: 해당 시간에 측정된 BOD 값 
str(BOD)
'data.frame': 6 obs. of  2 variables:
 $ Time  : num  1 2 3 4 5 7
 $ demand: num  8.3 10.3 19 16 15.6 19.8
 - attr(*, "reference")= chr "A1.4, p. 270"
summary(BOD)
      Time                 demand     
 Min.   :1.000       Min.   : 8.30  
 1st Qu.:2.250    1st Qu.:11.62  
 Median :3.500   Median :15.80  
 Mean   :3.667    Mean   :14.83  
 3rd Qu.:4.750    3rd Qu.:18.25  
 Max.   :7.000     Max.   :19.80  
library(tidyverse)

BOD %>%
ggplot( aes (x =Time, y = demand) ) + 
  geom_point (size =3) + geom_line (col = "red")

BOD geom_point + geom_line

서울시 5개 취수장 BOD (2021~2022)

seoul_bod <- read.csv("seoul_bod.csv", fileEncoding = "cp949")

str(seoul_bod)
'data.frame': 120 obs. of  4 variables:
 $ year  : chr  "2022년" "2022년" "2022년" "2022년" ...
 $ month : int  1 2 3 4 5 6 7 8 9 10 ...
 $ region: chr  "광암" "광암" "광암" "광암" ...
 $ BOD   : num  2.4 2.1 2.2 2.2 1.1 0.6 1.4 0.9 0.8 0.5 ...
seoul_bod%>%
  group_by(year, region) %>%
  summarise(
    mean_bod = mean(BOD),
    median_bod = median(BOD),
    max_bod = max(BOD)
  )
# A tibble: 10 × 5
# Groups:   year [2]
   year   region mean_bod median_bod max_bod
   <chr>  <chr>     <dbl>      <dbl>   <dbl>
 1 2021년 강북       1.78       1.7      3.1
 2 2021년 광암       1.88       1.85     2.8
 3 2021년 암사       2.03       2        3.3
 4 2021년 자양       1.61       1.35     3.3
 5 2021년 풍 납      1.85       1.6      3.6
 6 2022년 강북       1.12       0.85     2.4
 7 2022년 광암       1.35       1.25     2.4
 8 2022년 암사       1.32       1.15     2.3
 9 2022년 자양       1.52       0.9      5.7
10 2022년 풍 납     1.13       0.8      2.5
seoul_bod%>%
  filter (year == "2022년") %>%
  ggplot(aes(x=month, y=BOD, group=region, col=region)) + geom_line() +
  geom_hline(yintercept = 2 , col = "red", linetype = 'dotted', linewidth = 1) +
  labs(x="월" , y="BOD(mg/L)") +
  theme_minimal()  +
  scale_x_continuous(breaks = seq(1, 12, by = 1))

서울 수돗물 상수원 BOD (2022년 1~12월)

  • 그래프로 볼 때, 1월~4월은 대부분 상수원이 BOD 기준치(2 mg/L)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남
  • 5월~12월은 기준치 미만으로 수질이 좋음
seoul_bod%>%
  filter (year == "2021년") %>%
  ggplot(aes(x=month, y=BOD, group=region, col=region)) + geom_line() +
  geom_hline(yintercept = 2 , col = "red", linetype = 'dotted', linewidth = 1) +
  labs(x="월" , y="BOD(mg/L)") +
  theme_minimal()  +
  scale_x_continuous(breaks = seq(1, 12, by = 1)) 

  • 계절적인 변동성은 2022년과 2021년이 유사하나, 2021년 1월~4월은 전체 취수장의 BOD 수준이 높음

[월별 BOD 변화관련 참고기사]  뉴스토마토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947928 

팔당호 1급수(BOD 1.0㎎/L 이하) 달성을 목표로 세웠다. 보통 팔당호 수질은 2월 해빙기 이후 3~4월 갈수기를 거치며 수질 오염도가 높게 상승한다. 7~8월 비가 많이 와서 희석, 씻김 현상이 활발히 일어날 경우 수질이 점차 개선되는데, 지난해의 경우 1.1㎎/L를 유지하던 팔당 수질은 적은 강수량 영향으로 1.9㎎/L까지 올랐다. 오염도가 급격히 높아지는 시기를 잡아야 한다. 


수질 등급(級水)  

https://namu.wiki/w/%EA%B8%89%EC%88%98

 급수 BOD  비고
1 1ppm 이하 물이 맑고 투명해서 바닥이 잘 보임,
바다나 계곡, 그리고 강의 상류가 이에 해당,
염소・아이오딘 소독같은 간단한 정수 과정만 거쳐도 식수로 사용 가능 (기생충과 병균이 있을 수 있어, 강물 같은 걸 마셔야 한다면 최소한 끓여서 먹는 것이 좋음),
열목어, 가재, 버들치 등 서식금
2 1~3 ppm 주로 상수도, 수산업, 농업 등에 사용,
육안으로 보면 1급수와 같아서 구별하기 힘듬,
수영과 목욕 가능,  
끓이기만 하는 걸로는 식수로 쓸 수 없으며, 여과 과정을 거친 다음 마셔야 함,
정화 과정을 거쳐서 상수원수로 사용 가능,
은어, 쉬리, 쏘가리, 다슬기, 누치, 붕어 등 서식
3 3~6 ppm 주로 수산업, 공업용, 농업용수 등에 사용, 물 색은 황갈색,
정화를 거치면식수로 사용이 가능
붕어, 잉어, 메기, 미꾸라지, 큰빗이끼벌레, 뱀장어 등 서식
4 6~8 ppm 주로 공업용이나 농업용으로 쓸 수 있지만, 약품처리 등의 복잡한 과정 필요, 색깔은 검은색 혹은 짙은 녹색
5 8~10 ppm 공업용으로는 사용 가능, 검은색 그 자체,
급수 외로 분류하기도 함
급수 외 10ppm 이상 6급수라고도 함, 공업수로의 사용조차도 불가능

2013~2022 아리수 품질보고서 (상수원 BOD관련 내용)

  • 매년 유사, 숫자만 변경됨
  • 같은 보고 파일에 숫자만 Update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보임
보고 년도
(등일)
관련 내용
2022
(2022-06-21)

2022년도 한강원수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은 평균 1.3mg/L로 하천수 생활환경 BOD2)기준 
"좋음(Ⅰb), BOD 2.0 mg/L 이하" 등급에 해당합니다.

서울물연구원에서 수질 조사한 결과, 
최근 10년간(2013~2022년) 5개 취수장의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평균은 1.6 mg/L이었고, 
2022년도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은 평균 1.3 mg/L로 하천수 생활환경 BOD 기준
"좋음(Ⅰb), BOD 2.0 mg/L 이하" 등급에 해당합니다

원수의 수질은 계절적 영향으로 유량이 적은 시기에 일시적으로 나빠지기도 하나, 
원수 수질 검사 결과 38항목 중 25항목이 불검출이었으며,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기준으로 
‘좋음(Ib), BOD 2.0 mg/L 이하(평균 1.3 mg/L)’에 해당하는 양질의 수질입니다.
2021
(2022-06-21)
2021년도 한강원수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은 평균 1.8mg/L로 하천수 생활환경 BOD 기준 
"좋음(Ⅰb), BOD 2.0 mg/L 이하" 등급에 해당합니다.

서울물연구원에서 수질 조사한 결과, 
최근 10년간(2012~2021년) 5개 취수장의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평균은 1.7mg/L 이었고, 
2021년도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은 평균 1.8mg/L로 하천수 생활환경 BOD 기준 
"좋음(Ⅰb), BOD 2.0 mg/L 이하" 등급에 해당합니다. 

원수의 수질은 계절적 영향으로 유량이 적은 시기에 일시적으로 나빠지기도 하나, 
원수 수질 검사 결과 31항목 중 23항목이 불검출이었으며,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기준으로 
‘좋음(Ib), BOD 2.0 mg/L 이하(평균 1.8mg/L)’에 해당하는 양질의 수질입니다.
2020
(2021-06-16)

2020년도 한강원수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은 평균 1.6mg/L로 하천수 생활환경 BOD2) 기준 
"좋음(Ⅰb), BOD 2.0 mg/L 이하" 등급에 해당합니다.

서울물연구원에서 수질 조사한 결과,
최근 10년간(2011~2020년) 5개 취수장의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평균은 1.6mg/L 이었고, 
2020년도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은 평균 1.6mg/L로 하천수 생활환경 BOD 기준
"좋음(Ⅰb), BOD 2.0 mg/L 이하" 등급에 해당합니다.

원수의 수질은 계절적 영향으로 유량이 적은 시기에 일시적으로 나빠지기도 하나, 
원수 수질검사 결과 31항목 중 22항목이 불검출이었으며,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기준으로 
‘좋음(Ib), BOD 2.0 mg/L이하’에 해당하는 양질의 수질입니다.
2019
(2020-06-02)
2019년도 한강원수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은 평균 1.7mg/L로 하천수 생활환경 BOD 기준
"좋음(Ⅰb), BOD 2.0 mg/L 이하" 등급에 해당합니다.

최근 10년간 5개 취수장의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평균은 1.5~1.9 mg/L로 
안정된 수질을 보이고 있습니다. 
2019년도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은 평균 1.7 mg/L로 하천수 생활환경 BOD 기준
 "좋음(Ⅰb), BOD 2.0 mg/L 이하" 등급에 해당 합니다.

원수의 수질은 계절적 영향으로 유량이 적은 시기에 일시적으로 나빠지기도 하나, 
원수 수질기준 결과 31항목 중 23항목이 불검출이며,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기준으로 
‘좋음(Ib), BOD 2.0 mg/L이하’에 해당하는 양질의 수질입니다.
2018
(2019-05-16)
2018년도 한강원수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은 평균 1.7mg/L로 하천수 생활환경 BOD2) 기준 
“좋음(Ⅰb), BOD 2.0 mg/L 이하” 등급에 해당합니다.

서울물연구원에서 수질 조사한 결과, 
최근 10년간 5개 취수장의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평균은 1.5~1.9 mg/L로 
안정된 수질을 보이고 있습니다. 
2018년도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은 평균 1.7 mg/L로 하천수 생활환경 BOD 기준 
“좋음(Ⅰb), BOD 2.0 mg/L 이하” 등급에 해당합니다. 

원수의 수질은 계절적 영향으로 유량이 적은 시기에 일시적으로 나빠지기도 하나, 
원수 수질기준 결과 31항목 중 23항목이 불검출이며,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기준으로 
‘좋음(Ib), BOD 2.0 mg/L이하’에 해당하는 양질의 수질입니다.
2017
(2018-06-20)
2017년도 한강원수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은 평균 1.8 mg/L로 하천수 생활환경 BOD2) 기준 
“좋음(Ⅰb), BOD 2.0 mg/L 이하” 등급에 해당합니다.

서울물연구원에서 수질 조사한 결과, 
최근 10년간 5개 취수장의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평균은 1.5~1.9 mg/L로 
안정된 수질을 보이고 있습니다. 
2017년도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은 평균 1.8 mg/L로 하천수 생활환경 BOD 기준 
“좋음(Ⅰb), BOD 2.0 mg/L 이하” 등급에 해당합니다. 

원수의 수질은 계절적 영향으로 유량이 적은 시기에 일시적으로 나빠지기도 하나 
평균 수질은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기준으로 
‘좋음(Ib), BOD 2.0mg/L 이하’에 해당하는 비교적 양질의 수질입니다.
2016
(2017-04-28)
서울시 서울물연구원에서 수질 조사한 결과, 
최근 10년간 5개 취수장의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평균은 1.5~1.9 mg/L 으로 
일정 범위에서 안정된 수질을 보이고 있습니다. 
2016년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은 평균 1.8 mg/L로 하천수 생활환경 BOD 기준 
“좋음 (Ⅰb), BOD 2.0 mg/L 이하” 등급에 해당합니다.

원수의 수질은 계절적 영향으로 유량이 적은 시기에 일시적으로 나빠지기도 하나 
평균 수질은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기준으로 
‘좋음(Ib), BOD 2.0mg/L 이하’에 해당하는 비교적 양질의 수질입니다.
2015
(2016-05-19)
서울시 서울물연구원에서 수질 조사한 결과, 
최근 10년간 5개 취수장의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평균은1.5~1.9 mg/L 으로 
일정 범위에서 안정된 수질을 보이고 있습니다. 
2015년 5개 취수장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은 평균 1.7 mg/L로 하천수 생활환경 BOD 기준 
“좋음(Ⅰb), BOD 2.0 mg/L 이하” 등급에 해당합니다. 

원수의 수질은 계절적 영향으로 유량이 적은 시기에 일시적으로 나빠지기도 하나 
평균 수질은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기준으로 
‘좋음(Ib), BOD 2.0mg/L 이하’에 해당하는 비교적 양질의 수질입니다.
2014
(2015-05-12)
서울시 상수도연구원에서 수질 조사한 결과, 
최근 10년간 6개 취수장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평균은 1.5~1.9 mg/L 으로 
일정 범위에서 안정된 수질을 보이고 있습니다. 
2014년 6개 취수장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은 평균 1.4 mg/L로 하천수 생활환경 BOD 기준 
"좋음(Ⅰb), BOD 2.0 mg/L 이하" 등급에 해당합니다.

원수의 수질은 계절적 영향으로 유량이 적은 시기에 일시적으로 나빠지기도 하나 
평균 수질은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기준으로 
‘좋음(Ib), BOD 2.0mg/L 이하’에 해당하는 비교적 양질의 수질입니다.
2013
(2014-05-13)
서울시 상수도연구원에서 수질 조사한 결과, 
최근 10년간 6개 취수장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평균은 1.5~1.9mg/L 으로 
일정 범위에서 안정된 수질을 보이고 있습니다. 
2013년 6개 취수장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은 평균 1.6mg/L로 하천수 생활환경 BOD 기준 
"좋음(Ⅰb), BOD 2.0mg/L 이하" 등급에 해당합니다.

원수의 수질은 계절적 영향으로 유량이 적은 시기에 일시적으로 나빠지기도 하나 
평균 수질은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기준으로 
‘좋음(Ib), BOD 2.0mg/L 이하’에 해당하는 비교적 양질의 수질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