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You can't manage what you can't measure" Peter Drucker
야구

야구의 특성 및 데이터 관리

by Vitaminymc 2023. 8. 5.
반응형

 

야구는 다른 스포츠대비 데이터 기록과 분석이 중요한 경기

야구의 특성을 파악하기 전에, 구기 종목의 경기 방식 등 특성을 구분한다면,

구기 종목 (Ball sports) 특성

구기 종목을 경기 방식 등 특성에 따라 구분한다면,

  • 팀 대 개인: 스포츠는 팀이 경쟁하는 종목과 개인이 경쟁하는 종목으로 나눌 수 있음
    • 팀 : 축구, 야구, 배구, 농구, 하키 등
    • 개인 : 테니스, 탁구, 골프 등 (물론, 복식 경기도 있고, 팀 대항전도 있음)
  • 경기 장소(프로 스포츠 기준) : 스포츠는 경기를 치는 장소에 따라 나눌 수 있음
    • 실외 경기장 : 야구, 축구, 골프 등
    • 실내 경기장 : 농구, 배구, 탁구 등
    • 골프는 여러 홀의 돌면서 경기 (각 홀의 경기장은 홀컵 위치 등이 다르게 구성되며, 대회마다 다른 규격의 경기장)
    • 야구도 경기장마다 규격과 특성이 다름 (홈런 펜스까지 거리, 파울 존 등)
    • 테니스는 실내 대회와 실외 대회 구분, 야구 돔구장은 실내이긴 하나...
  • 경기 방식: 시간제 종목과 세트(홀) 방식 종목으로 나눌 수 있음
    • 시간제 : 축구, 농구
    • 세트(홀, 이닝) : 배구, 테니스, 탁구, 야구, 골프 등
  • 장비 사용 유무: 공을 주고 받는데, 라켓, 배트 같은 장비를 사용하는 종목과 장비 없이 공과 선수만 경기하는 종목
    • 장비 사용 : 테니스, 탁구, 야구, 골프, 하키 등
    • 장비 미사용 : 축구, 농구, 배구, 미식 축구 등
    • 야구는 수비할 때는 글러브 착용
    • 야구(공격할 때)와 미식축구, 아이스하키는 헬멧 착용 

 

  경기방식 비고  
야구 - 투수가 타자에게 공을 던지고,
  타자는 공을 치고 주자들이 베이스를 돌아서 홈으로 들어오면 득점
- 각 팀은 공격과 수비를 번갈아가며 경기를 진행
- 팀은 9회씩 공격할 기회를 가지고, 점수가 더 많은 팀이 승리
-점수 획득 방식에 따라,
 동시에 1점~4점 득점
- 다양한 체구의 선수들로 구성
  (각각의 장점을 작전에 따라,
   최대한 활용)
축구 - 전후반, 공을 발로 차서 상대편 골대에 골을 넣으면 득점
- 리그 형태는 승리, 무승부에 따라 승점으로 순위를 결정
- 토너먼트 형태은 동점일 경우 연장전과 패널티 킥을 통해 승패 결정
 
농구 - 4 Quarter, 공을 손으로 들고 패스하거나 드리블을 하며 
  상대편 골대에 공을 넣으면 득점, 더 많은 점수를 획득한 팀이 승리
-골을 넣은 상황 및 위치에 따라,
 1~3점 득점
-포지션에 따라, 키가 다르나,
 큰 키가 유리
배구 - 네트를 사이에 두고 경기를 진행
- 공을 상대편 코트로 넘겨서 상대편이 공을 떨어뜨리거나,
  공이 상대편 선수를 맞고 아웃되면 득점
- 먼저 3세트를 선점한 팀이 승리
-리베로 같은 수비 전문 선수가
 있으나, 전반적으로 큰 키가 유리
테니스 - 라켓으로 공을 상대편 코트로 넘겨서  상대편이 공을 못 쳐내고
  코트에 떨어뜨거나, 상대편이 친 공이 아웃되면 득점
- 먼저 3세트를 선점한 팀이 승리
 
미식축구 - 패스와 러닝을 통해 공을 상대편 코트 앤드 존에 공을 터치다운하거나
  상대편 골대에 넣으면 득점
-  한 번의 플레이(다운) 후에 다음 플레이를 준비하는 시간이 
  주어지며, 공격과 수비가 분리
- 럭비는 연속 경기
- 터치다운(Touchdown) 6점,
  트라이(2점)와 킥(1점 또는 2점)

- 포지션에 따라, 역할이 다르고, 
  체구가 다름
골프 - 공을 골프 클럽으로 치는 스포츠로, 코스에서 여러 홀을 돌며 
  경기를 진행
- 각 홀의 홀컵에 공을 넣을 때까지 횟수를 누적하여, 최소 횟수로
  넣은 선수가 승리
- 공을 넣는 것을 어렵게 하기 위해서, 러프와 벙커를 배치하고
  각 홀마다 홀컵의 위치 등 코스를 다르게 구성
 
하키,
라크로스 
(Lacrosse)

- 얼음 하키, 필드 하키 등으로 스틱으로 공 또는 퍽을 상대편 골대에
  넣으면 득점
- 아이스 하키는 6명, 
  필드 하키는 11명으로 경기
- 라크로스는 10~12
핸드볼 - 손으로 공을 패스하거나 드리블하여, 상대편 골대에 넣으면 득점  
크리켓 - 야구처럼 한 팀은 공격하고 다른 팀이 수비하는 방식으로 진행
- 경기를 세트 단위로 나누어 오버(Over)를 던지는 것이 일반적
- 각 오버는 여섯 개의 볼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기는 오버의 수에 따라 진행
- 투수는 린스맨이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볼링 스타일을 사용하여 
  타자를 혼란시키고 골인을 시도
- 타자가 공을 치면, 두 바운드 이상으로 타구가 움직이거나 
  공이 경계선을 넘으면 타자와 동료 타자들이 주루를 시도
 

야구 특성과 데이터 관리 및 분석

  • 야구가 다른 스포츠들보다 기록을 더욱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중요시하는 이유에는 종목 특성에 기인
  • 멈추고 진행하는 특성: 야구는 경기가 멈추고 진행하는 구간이 뚜렷한 특성이 있음,
    투구와 타구 사이에 여유가 있으므로 기록을 정확하게 기록하는 것이 용이
    (반면, 축구와 농구와 같은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스포츠들은 정확한 기록 관리의 한계, 데이터가 누락되거나 부정확해질 수 있어 데이터 관리 체계 및 분석에 영향을 줄 수 있음)
  • 개별 기록 중요성: 야구는 개별 선수들의 투구, 타구, 수비 등의 동작이 개별적으로 많이 발생,
    투수의 투구 수, 타자의 타수, 투수의 스트라이크 아웃 수, 타자의 홈런 수 등 모든 행위들이 세부적으로 기록 가능
    많은 데이터가 축적되어 선수의 능력과 성과를 정확하게 평가 가능
  • 선수교체의 빈도: 야구는 거의 매일 경기하고, 상황에 따라 여러 작전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선수들의 투구 수, 타율, 작전수행 능력, 선수의 강점과 약점, 상대 전적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선수의 피로도 및 작전에 따라 선수 교체  
  • 다른 스포츠들도 데이터 활용에 주목하고 있지만, 야구의 특성과 요구 사항에 따라 데이터 관리와 분석에
    더욱 깊은 관심과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
  • 야구 VS. 축구 : 둘 다 우리나라에서 최고의 인기 스포츠, 야구가 축구보다 국제적으로 인기가 없는 이유는 축구는 공 하나만 있으면 간단하게 경기를 할 수 있으나, 야구는 공간도 넓어야 하고 방망이와 글러브가 필요하다보니, 야구를 즐기는 선수 및 국가 확산에 제약 (이는 구기 종목 중에 장비를 사용하거나, 경기장의 특수성이 있는 종목의 공통점)

 

야구 데이터 관리 및 분석 Trend

  • 야구 경기의 흐름에는 자연스러운 단절이 있고 일반적으로 선수들은 집단적으로 경기를 펼치기보다는 개별적으로 경기를 펼치기 때문에 경기 기록과 통계를 쉽게 기록할 수 있음
  • 19세기 Henry Chadwick에 의해, 선수들의 경기 결과를 기록하기 시작하였으며, 크리켓 스포츠에 대한 Henry Chadwick의 경험을 바탕으로 타율, 득점, 허용 득점 등 야구 데이터 산출 및 관리됨
  • 초기에는 야구 경기의 결과와 기록을 분석하여 선수들의 성적과 팀의 플레이 스타일을 평가하는 용도로 활용
  • 전통적으로 타율과 자책점과 같은 통계는 야구 통계계의 관심을 지배해 오다가,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야구의 통계 데이터를 활용하여 세이버메트릭스라는 분석 방법론이 등장
  • 세이버메트릭스의 출현으로 더 광범위하게 선수들의 성과 및 기여도 측정, 경기장 변수에서 도출된 통계가 생성
  • 종합적이고 역사적인 야구 통계는 Hy Turkin 연구원이 The Complete Encyclopedia of Baseball을 출판한 1951년까지 일반 팬이 접근하기는 어려웠음
  • 1969년 Macmillan Publishing은 처음으로 컴퓨터를 사용하여 통계를 수집하는 최초의 야구 백과사전을 인쇄
  • "빅맥"으로 알려진 이 백과사전은 1988년 워너 북스가 보다 정교한 기술을 사용하여 Total Baseball을 출시할 때까지 표준 야구 참고 자료가 됨
  • 2000년대 초반에는 투수의 공의 속도와 궤적을 추적하기 위해 Pitch f/x 기술 도입, 이를 통해 투수들의 구종과 투구 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었으며, 데이터 분석의 정확도가 향상
  • 2010년대에는 트랙맨(TrackMan)과 호크아이(Hawk-Eye)와 같은 첨단 데이터 수집 시스템이 등장
  • 트랙맨은 투수의 투구 동작과 타자의 타구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는데 사용되며, 호크아이는 수비의 위치와 타구의 궤적을 추적하여 더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

(Source : https://en.wikipedia.org/wiki/Baseball_statistics)

 

Yankee Stadium (2011)

728x90